2025년 6월 3일(화)에 실시되는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김포시 유권자들은 사전투표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는 5월 29일(목)과 30일(금) 양일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신분증만 지참하면 별도의 신청 없이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투표가 가능합니다. 김포시 내 사전투표소 위치와 관련 정보를 미리 확인하여 원활한 투표 참여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김포시 사전투표소 위치 및 정보
김포시는 총 14개의 사전투표소를 운영하며, 각 읍·면·동별로 지정된 장소에서 투표가 진행됩니다. 아래는 각 사전투표소의 명칭, 소재지, 시설명에 대한 정보입니다.
통진읍 | 통진읍사전투표소 | 통진두레문화센터(1층, 로비) |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김포대로 2347-8 |
고촌읍 | 고촌읍사전투표소 | 고촌읍행정복지센터(2층, 다목적강당)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장차로 14 |
양촌읍 | 양촌읍사전투표소 | 양촌읍행정복지센터(2층, 소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1로68번길 37 |
대곶면 | 대곶면사전투표소 | 대곶면주민자치센터(3층, 대강당) |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율생로 83-23 |
월곶면 | 월곶면사전투표소 | 월곶면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군하로 263 |
하성면 | 하성면사전투표소 | 하성면복지문화센터(1층, 식당) |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애기봉로 845 |
김포본동 | 김포본동사전투표소 | 김포본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북변1로 13 (북변동) |
장기본동 | 장기본동사전투표소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김포대로 1433 (장기동) |
사우동 | 사우동사전투표소 | 김포시민회관(1층, 실내체육관) | 경기도 김포시 사우중로 26 (사우동) |
풍무동 | 풍무동사전투표소 | 풍무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풍무로 74 (풍무동) |
장기동 | 장기동사전투표소 | 장기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2로 112 (장기동) |
구래동 | 구래동사전투표소 | 구래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9로115번길 25 (구래동) |
마산동 | 마산동사전투표소 | 마산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8로 246 (마산동) |
운양동 | 운양동사전투표소 | 김포아트빌리지(아트센터 1층, 다목적홀) | 경기도 김포시 모담공원로 170 (운양동) |
각 사전투표소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신분증만 지참하면 별도의 신청 없이 투표가 가능합니다.투표소 내 혼잡을 피하기 위해 사전투표소 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여유 있는 시간에 방문하시길 권장합니다.
사전투표 시 유의사항 및 준비물
사전투표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 투표 시간: 사전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마감 시간 이후에는 투표가 불가능합니다.
- 투표소 혼잡 시간 피하기: 일반적으로 오전 6시
8시, 오후 4시6시가 비교적 한산하므로 이 시간을 활용하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투표소 내 규정 준수: 투표소 내에서는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으며,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만을 사용하여 투표해야 합니다.
또한, 코로나19 확진자나 격리자는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5월 30일(금) 오후 5시부터 선거 목적의 외출이 허용되며, 오후 6시 이전에 투표소에 도착해야 합니다. 이 경우, 신분증과 함께 외출안내 문자 또는 확진·격리통지 문자 등을 투표사무원에게 제시한 뒤 안내에 따라 별도로 마련된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차이점
사전투표와 본투표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 투표 기간: 사전투표는 5월 29일(목)과 30일(금) 양일간 진행되며, 본투표는 6월 3일(화)에 실시됩니다.
- 투표 시간: 사전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본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됩니다.
- 투표소 이용: 사전투표는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가능하지만, 본투표는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해당하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
- 편의성: 사전투표는 일정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투표할 수 있어 편리하며, 본투표는 지정된 장소와 시간에만 투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일정상 본투표일에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은 사전투표를 활용하여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사전투표는 반드시 거주지 인근에서 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사전투표는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가능합니다.
Q2. 사전투표소 정보는 언제 공개되나요?
사전투표소 정보는 선거일 약 2주 전부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투표 당일 신분증을 꼭 지참해야 하나요?
네,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으면 투표가 불가능합니다.
Q4. 투표소 혼잡 시간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실시간 혼잡도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를 참고하여 혼잡한 시간대를 피할 수 있습니다.